카테고리 없음

도시 중심의 선교가 중요한 것은

좁은길을 걸으며 2009. 7. 31. 20:08

도시 중심의 선교는 일단 선교사의 몫이다

 

사도행전을 보면 바울은 일단 대도시를 공략했다.

그리고 그는 세계의 수도였던 로마로 향하는 것이 소원이었다.

하나님께서는 그것을 허락하셨다.

 

다음 글을 내가 발췌한 것이지만 관심이 많은 분야 중에 하나여서 다른 분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어서 올립니다.

 

 

 

나는 도시 선교사

강사/ 나성균목사(D.Miss.cand)

1. 서언


1900년도에는 세계 인구의 9%만이 도시에 살고 있었음. 그러나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 50%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음. 세계 각처에서 사람들이 도시로 이주하고 있으며 이것은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이주’라고 불리움.
이런 현상은 기독교 선교에 주요한 도전이 되고 있음. 한편 도시에는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여러 민족이 우리의 문턱에까지 와 있는 것임(땅 끝에서 온 선교사). 그러므로 우리는 그 안에서 복음으로 민족의 장벽을 초월하는 우주적 교회를 세워야 할 사명이 있음.


- 마닐라 선언문

※ 세계 도시화율
1900년(9%), 1920년(14%). 1950년(30%), 1990년(45%), 2000년(50%:32억), 2025년(65%)

※ 2/3 세계권의 도시화율
․ 1950년대에 500백만명 이상 인구를 가진 도시는 전 세계 6개 가운데 2개 뿐이였음.
(상하이,부에노스아이레스)
․ 1970년도 : 11개 (55%) 1990년도 : 23개(66%) 2000년도 : 34개(76%)
방글라데시(다카-인구의 3분의 1), 필리핀(마닐라-인구의 3분의 1), 태국(방콕),
터키(이스탄불), 이란(테헤란),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파키스탄(카라치와)
브라질(리오), 남아공(케이프타운)도 비슷한 상황



※ 한국의 도시화율


1925(3.2%), 1935(5.6%), 1945(12.9%), 1955(24.5%), 1965(33.5%), 1975(48.4%),
1982(58%), 1998(82%), 2002(90%)

※ 2000년 세계 30대 도시
멕시코시티(25.6%), 상파울루(22.1%), 도쿄(19.0%), 상하이(17.0%), 뉴욕(16.8%),
캘커타(15.7%), 봄베이(15.4%), 베이징(14.0%), 로스엔젤레스(13.9%), 자카르타(13.7%) 델리(13.2%), 부에노스아이레스, 라고스, 텐진, 리우데자네이루, 다카, 카이로, 마닐라,
방콕, 카라치, 이스탄불, 모스크바, 오사카, 파리, 테헤란, 방갈로르. 리마, 마드라스, 런던 등은 천만 도시

2. 성경에 나타난 도시의 이미지
하나님은 도시를 중심으로 구속의 역사를 경영해 오셨음. 성경의 구속사의 중심 도시는 새 에덴(Eden-Pleasure/창1:28)이요, 여호와 삼마(겔48:35/여호와께서 거기 계시도다)로서의 새 예루살렘(Jeru+Salem/계16:19,17:5,18:10,21:2,24)이다. 예수님도 도시와 농촌을 두루 다니시며(눅10:1-2,14:21,19:17-19) 선교하셨음. 바울이 선정한 선교거점은 대부분 도시였음(엠2:21-22,갈4:21).

3. 도시의 특징 및 문제점

 

가. 특징
① 無名性(anonymity-homo symblicus) ② 移動性(mobility-rush rush)
③ 실용성(pragmatics) : 삶의 질 추구 ④ 불경성(non-piety) : 진지성 없음

나. 문제점
① 문화형성의 갈등
② 도시빈민과 소외 계층
③ 여성 문제
④ 노인 문제
⑤ 청소년문제
⑥ 도시 인프라 등


4. 다양한 도시 지역

 

가. 도심지역
1) 떠나가는 거주민들
2) 특수한 교회사역 아니면 사원교회 사역
① 특수한 지역교회 사역 가능성
3) 사역의 장점과 가능성
4) 한계와 난간을 넘어
5) 도심지역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들
① 위치변경 ② 가정적인 단위그룹 강화
③ 주중 프로그램 ④ 개교회주의적 선교로부터의 탈피
⑤ 젊은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⑥ 귀중한 상담 사역
⑦ 지역조사에 기초한 프로그램들

 

나. 쇠퇴,빈민 지역
1) 현실이 주는 열등감
2) 높은 유입, 유출 인구
3) 높은 수용성
4) 쇠퇴, 빈민 지역을 위한 효과적 방안들
① 우선순위 ② 문화적 적응
③ 치유 사역의 중요성 ④ 중요한 가정사역
⑤ 예외없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욕구 ⑥ 사람 키우기
⑦ 계층형 성향에 대한 이해 ⑧ 중요한 초자연적 사역
⑨ 유츌율을 초과하는 성장률 유지

 

다. 안정된 중산층 주택지역
1) 높은 자부심과 문화적 혜택들
2) 안정된 인구
3) 안정선이 주는 비수용성
4) 적극적인 공공활동
5) 지역교회들의 문제점들
① 내향적 집단주의 ② 내향적 교회 사역들 ③ 정적인 공동체화
6) 안정된 중산층 주택 지역을 위한 효과적 방안들
① 주택지역의 중심지
② 문화적인 장벽이 없는 지도자
③ 자부심을 주는 건물
④ 지향해야 할 편증된 의존도
⑤ 아파트 주민들에 대한 접촉 방법의 개선
⑥ 공적인 활동에 적극적인 주민들을 위한 행사
⑦ 중산층 문화의 교회
⑧ 정적 공동체화를 막는 지도력의 견제장치 마련

 

라. 신흥지역
1) 신흥지역으로의 인구 이동과 그 의미들
2) 가족 단위 체제
3) 경제적 수준
4) 이동의 주는 높은 수용성
5) 교회 설립의 최적지
6) 지역을 위한 효과적 방안들
① 지교회-모교회 전략
② 아파트 문화에 맞는 접근
③ 유입된 크리스챤들에 대한 관심
④ 참을성
⑤ 안정감을 주는 교회
⑥ 문화적 활동과 선교
⑦ 가족단위를 고려한 사역
⑧ 효과적인 주요 교회들의 사역

 

마. 중소 도시지역
1) 대도시로 가는 과정에 있는 도시
2) 장기적인 계획목회
3) 강력한 중심가 교회

 

바. 도시화된 농촌지역
1) 회심 성장에 의존한 교회 성장
2) 유망한 교회의 위치

 

도시선교를 통해서 복음을 전하는 가운데 그들(원주민) 중에 소명을 받은 자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자국어로 소도시 농촌 어촌을 파고 들 수 있도록 한다면 세계 선교는 진일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시선교의 관심은 주님의 재림때까지 선교의 중심적인 과제 중의 하나로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