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네그로스의 역사: 토지 독점의 역사

좁은길을 걸으며 2008. 12. 21. 00:43

네그로스의 역사: 토지 독점의 역사

 [출처] 필리핀 네그로스의 역사|작성자 apnet99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토지와 자연환경은 네그로스 모든 사람들에게 속해 있었다.

 

그들은 화전 농업과 사냥에 종사했고, 생계를 위해서 쌀, 고구마, 멧돼지, 닭 그리고 물고기를 먹었다

 

 

1565년 스페인 탐험가, 에스테반 로드리게즈 드 피구에로아는 ‘부글라스’라고 불리는 세부 서쪽에 있는 섬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 섬에서 저지대에 살고 있는 말레이시아 이주민과 언덕에서 살고 있는 검은 색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발견했다.
그들은 이 섬을 “네그로스”라고 이름 지었다.

1571년 9월 6일, 스페인 왕, 필립 2세가 만든 국왕법령은 네그로스를 8개의 엔코미엔다스 혹은 스페인 정착지로 나누었다.
네그로스인들은 정착지로 들어 온 스페인 관료와 수도사들을 위해서 세금을 납부했다.
불공평한 봉건 제도는 네그로스를 20세기까지 움켜쥐었다.

 

 

네그로스 플랜테이션 경제의 전야(1840-1850)

홀로와 루손에서 많은 정착민들이 네그로스에 물밀 듯 들어왔다. 가장 잘 알려진 사람들은 설탕 생산기술을 가지고 온 어거스틴 몬틸라, 이브 저마인 가스턴 그리고 유세비오 루주리아가였다.
외국인 정착민들은 중국, 스위스, 프랑스, 영국 그리고 프로이센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네그로스 여자들과 결혼 하였다.

농지를 개척했던 전 토지 소작인들로부터 농지를 사들여 1840년부터 플랜테이션 농지로 만들었다.

 

토지 가치는 심어놓은 묘목에 의해 표시되는 크기가 적혀있는 농지 스케치에 기록되어 있었다.
토지 취득은 Realengas라고 불리는 스페인 영토분배계획에 의해서 1870년 중반에 합법화 되었다. 이 계획은 수천 헥타르의 공공 토지를 싼 값에 내 놓은 것이었다.
테오도로 베네딕토와 알레앙드로 몬텔리바노가 가장 큰 토지를 획득하였다.
1986년 이전의 네그로스에는 485명의 하센데로스가 수천 혹은 수백 헥타르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네그로스에서 설탕의 상업적 생산은 184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그 당시 기록된 마스코바도의 양은 3,000피컬로 190톤이었다.

 

마스코바도는 1840년대에 네그로스에서 마닐라로 운송되어 중국, 일본 그리고 나폴레옹 전쟁 후에는 스페인과 유럽에 수출되었다.

1840년 후반부터는 네그로스의 마스코바도 수출량이 년간 280톤까지 증가했다.

 

 

1921년에서 1934년까지 필리핀 설탕 산업은 전례가 없는 번영을 이루었는데, 그것은 미국 관세제도가 필리핀 농작물의 미국 수출에 무관세를 허용했기 때문이었다.
당밀분리 설탕생산 시스템이 발전됨으로써 마스코바도는 중국과 일본시장 수출로 격하 되었다.
영주와 공장주들은 설탕의 가격을 1파운드당 20.8센트 혹은 1피컬 당 54페소로 판매하는 전성기를 가졌다.

 


 

네그로스 하센데로스들은 설탕 플랜테이션 사업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공장주와 설탕 무역업자들도 타 농업 사업가들에 비해 더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있었다.
그러나 네그로스 엘리트 부류는 벌어놓은 돈을 농업과 산업의 현대화에 투자하기 보다는 목걸이, 귀걸이, 빌라, 종교적 우상 그리고 거리 축제 등 사치하는 데 낭비했다.
다른 네그로스 엘리트들은 상업 은행의 공유, 말 무역, 사채 혹은 도시 부동산업을 하는 등 비농업 사업에 돈을 투자했다.
하센데로스들은 대토지 소유제로 인해 학대와 부당한 대우를 받던 플랜테이션 노동자들의 불만을 진압하기 위해 개인경비를 두었다.


1929년 아시엔다스에서의 노예 노동자들

사탕수수 생산의 노동 집약적인 육체노동은 노동자들의 노예화를 야기했고 플랜테이션 노동자들의 생계는 인간 이하의 수준이었다. 임금은 성별과 나이에 따라 지불되었다.
남자들은 땅을 경작하고 써레질하는 일 그리고 운하와 관개수로를 만드는 일을 했다. 그들의 임금은 한 주당 2.50페소와 7kg의 쌀이었다.
소년들은 가축을 모으고 제초작업을 하는데, 한 주당 1.50페소와 7kg의 쌀을 받았다.
여자와 여자 아이들은 사탕수수를 심고, 껍질을 벗기고 포장하는 일을 했는데 사탕수수 만 개당 6.25페소에서 7.50페소를 받았다.

 

 

대토지 소유체제에 대한 농민의 투쟁

1896-1907 다이오니시오 세고벨라에 의한 반란
스페인과 스페인 하센데로스를 향한 첫 번째 반란이었다. 국가주의를 넘어선 투쟁은 계속 되었으며 미국 식민지 시대까지 이어졌던 대토지 소유제에 의한 노예제도 폐지를 주창한 사회 개혁운동이었다.

1920- 1927 플로렌시오 인트렌쉐라도에 의한 반란
천 명의 반란자들은 사회개혁을 내세우며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과도한 세금정책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네그로스에서 14, 275명의 추종자들을 얻었는데, 그가 잡히자 그의 추종자들은 빅토리아스와 라 칼로타에서 폭력시위를 일으켰다.

1927- 1931 Federacion Obrera de Filipinas

조세 나바에 의해 시작된 노동운동은 네그로스와 파나이에서 185,000명의 회원을 조직했다. 1931년의 FOF운동은 네그로스 아시엔다스와 설탕 공장들을 궁지로 몰았다. 경찰의 FOF 진압으로 인해 조직원들은 1942년에 게릴라 전투를 일으켰다.

 1942-1957 훅발라합과 HMB

진압된 FOF운동은 민족주의와 사회개혁을 위한 무장투쟁을 추구 했다. 이때 당시 2차 세계대전과 전후 사회주의 개혁이 일어났었다. 안드레스 통고농과 카스토 알레잔드리노에 의한 운동은 파나이의 언덕과 네그로스의 대 토지를 점령하였다.

1960-1972 자유농민연맹
기독사회운동과 초기 키로운동에 의한 농지개혁투쟁은 네그로스 하센데로스와 그들의 사병들에게 도전하는 새로운 여세를 몰아갔다. 네그로스에서 파티도 카보스의 법정싸움과 선거투쟁 그리고 농부들이 대 토지를 불태웠던 것은 이 시기의 불안한 시대상을 두드러지게 했다.

1973- 1986

계엄령하에서의 농민투쟁은 토지점령과 대 토지를 불태웠다. 이것은 네그로스 설탕노동자의 전국연맹과 NPA(New People’s Army)의 게릴라 전투에 의한 것이었다. 이것은 필리핀 독재체제에 대해 전국적 투쟁이 있었음을 설명해 준다.

1987-현재

1987년 헌법하의 포괄적 농민개혁프로그램 법 (CARP) 제정은 필리핀 하센데로스의 토지 독점에 의한 불공정함, 특히 봉건제도로 인한 학대와 불의가 가장 심했던 네그로스에게는 완전한 해결을 위한 희망이었다.

 

 

 

 

네그로스 토지 상황

막강한 힘이 있는 하센데로스들은 네그로스 옥시덴탈에서 필리핀 내 가장 큰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
그 하센데로스들은 고한고, 아래네타, 쿠엔카, 베네딕토, 잘란도니, 로페즈, 리자레, 루지네스, 락손, 구스틸로 그리고 아로요와 그들의 가족들이다.
싼 임금노동이 하센데로스들에게 막대한 부를 안겨주었는데, 그들이 투자한 큰 기업은,

고방꼬
산 미구엘 주식회사, 코스모스 음료사업, 코카콜라, UCPB, 미놀라 식용유

로페즈
벤프레스, 메랄코, PCI 은행의 최대 주식 보유.

아래네타
아레네타 상업단지, 아레네타 그룹


DAR 데이터에 의하면 네그로스 오시덴탈에는 여전히 CARP가 확인하지 못한 상당한 면적의 개인 농지가 지방에 남아 있다고 한다.
2003년의 경우에는 109,775 헥타르의 네그로스 토지가 아직 CARP에 의해 확인되지 못했다. 이것은 전국 CARP 평균 700,227 헥타르의 16%에 해당한다.
총 68,199 헥타르는 50헥타르 이상의 토지를 가진 네그로스 땅을 포함한다. 이것은 CARP가 50 헥타르 면적의 토지와 함께 전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의 총 214,651 헥타르의 32%이다.

농지 개혁 수혜자들은 사실상 토지를 소유 할 여건이 미비하여서 네그로스 토지 개혁 이행은 줄어드는 한계가 있었다

 

기록된 토지 범위
실제상 이용면적
2001년
7,384 has
2,373 has
2002년
10,018 has
3,421 has
2003년
8,779 has

  

CARP는 토지 분배에 대한 한계가 있었고 농민개혁수혜자들을 위한 아래의 필요를 충족시키는데 실패하였다.

1. 생산자본을 위한 여유 있는 대출
2. 지속 가능한 생산기술
3. 전체 조직발전
4. 기업발전에 대한 능력배양
5. 안정된 시장으로의 접근

 

네그로스 농민상황

네그로스의 ATG는 2001년 네그로스 기아 상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그 해결을 위한 다방면의 접근방법, 즉, 지속 가능한 농업, 유기농법 그리고 공정무역으로 네그로스의 기아문제를 정확하게 알리고 네그로스의 가난한 생산자들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키는 데 노력하고 있다. 동시에 다음 세대에 좋은 생태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지속 가능한 농업과 대안 무역을 통해서 가난한 농민들은 그들의 음식과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다

 

 

  현재 각 가정은 음식, 교육, 건강과 생계를 해결할 수 있다

 

 

 

사람들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향한
여정은 계속 될 것입니다.

 

이 자료는 두레생활협동조합이 민중교역을 위해 설립한 자회사 에이피넷이작성한 자료입니다. 

인용하시거나 복사해 가실 경우에 출처를 꼭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사람이 보이는 상품
글쓴이 : 심형진 원글보기
메모 :